티스토리 뷰

가족학

조직 설계의 차원

핫24시시시 2021. 3. 5. 15:29
반응형

전문화란 조직의 직무가 개별 업무로 세분화되어 있는 정도를 말한다. 전문화 정도가 높으면 구성원은 매우 제한된 업무만을 수행하게 된다. 전문화의 정도가 낮은 경우 구성원은 다양한 직무를 수행할 기회를 가지게 된다. 전문화는 분업화라고 부르기도 한다. 권한계층이란 조직에서의 보고체계와 관리의 통제범위를 지칭하는 말이다. 권한계층은 조직도에서 수직선으로 표시된다. 보고체계와 관련이 있다. 권한계층은 통제범위(한 관리자에게 보고하는 직원의 수)를 말하기도 한다. 통제범위가 좁으면 조직 계층이 높아지고 통제범위가 넓어지면 조직은 수평적이되며 계층은 낮아진다.
집권화란 의사결정이 어느 계층에 있는지와 관계가 있다.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계층이 최고경영층에 제한되어 있다면 집권적인 조직구조를 갖는다고 말한다. 의사결정이 하위계층에 위양되어 있다면 분권적이라고 말한다. 전문직화란 종업원들이 공식적인 교육과 훈련을 필요로 하는 정도를 말한다. 종업원이 근무를 하기 위해서 장기간의 교육훈련이 필요한 경우 전문직화가 높다고 간주된다. 보통 전문직화는 종업원의 평균 교육연수로 측정된다. 의료계의 경우 길게는 20년이 될 수도 있고, 건설업의 경우에도 10년 정도가 될 수 있다. 인원 구성비란 다양한 기능과 부서에 배치된 인력의 비율을 말한다. 인원 구성비에는 관리 비율, 비서직 비율, 전문직 비율, 직간접 노동력 비율 등이 포함된다. 인원 구성비는 한 부서에 종사하는 종업원 수를 전체 종업원 수로 나눈 값이다. 규모란 조직의 크기를 말한다. 규모는 조직 전체 관점에서 말할 수가 있고, 공장이나 부서 등 특정 조직단위를 중심으로 말할 수도 있다. 종업원 수가 규모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지표이다. 조직의 총매출이나 총자산 등도 규모를 말해주는 지표로 사용되기도 한다. 기술이란 투입을 산출로 변환시키는 데 사용되는 도구, 기법, 또는 행위 등을 일컫는 말이다. 고객에게 제공되는 상품과 서비스를 실제로 어떻게 생산하는지가 기술과 관련된다. 유연생산체제, 첨단 정보시스템, 인터넷 등이 기술을 구성하는 좋은 예이다. 자동차 조립 생산라인, 대학 강의실, 익일 배달시스템 등도 기술에 해당하는 예들이다. 환경은 조직 경계 외부에 존재하는 모든 요소를 말한다. 산업, 정부, 고객, 공급자, 금융권 등이 주요 환경요소이다. 또한 경쟁자와 같이 조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소도 있다. 조직의 목적과 전략 역시 상황배경적 차원의 하나이다. 목적과 전략에 따라 다른 조직과의 차별성이 나타나게 된다. 목적은 회사가 의도적으로 가고자 하는 지향점이다.


전략은 이 지향점에 도달하기 위해 계획된 일련의 행동이다. 자원배분이나 환경에 대처하기 위한 각종 활동이 여기에 속한다. 조직의 목적과 전략이 있음으로 해서 조직의 활동범위나 종업원, 고객 또는 경쟁자와의 관계가 분명하게 드러나게 된다. 조직문화는 종업원들이 공유하는 핵심가치, 신념, 이해, 규범을 말한다. 조직문화는 문서로 기술되지는 않지만 기업 내에 돌아다니는 일화, 표어, 행사, 복장, 사무실 배치 등에 배어 있게 된다. 앞에서 언급한 구조적 차원과 상황배경적 차원은 상호의존적이다. 예를 들어 조직의 규모가 커지거나 사용하는 기술이 일상적인 경우 그리고 조직의 환경이 안정적이면 조직은 공식화, 전문화, 그리고 집권화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들 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다른 장에서 더 자세히 다루기로 한다. 구조적 차원과 상황배경적 차원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서로 다른 조직을 비교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해주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Temary Software와 Wal-Mart 그리고 정부기관을 서로 비교할 수 있게 해준다. 이들 3개 조직의 구조와 상황배경적 차원 간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Temary는 소규모 조직으로 공식화와 집권화 수준이 낮고 전문화는 중간 정도이다. 소프트웨어와 정보기술의 변화에 대응해야 하는 특성으로 연구개발이 중요함에 따라 전문직화는 매우 높다. Wal-Mart는 공식화, 전문화, 집권화 정도가 모두 높다. 전문직화는 매우 낮다. 연구개발과 같이 간접과업을 수행하는 인력의 비중이 낮기 때문이다. 유통업의 속성상 신상품을 개발하는 것보다는 내부 효율을 중시하는 특성이 반영된 것이다. 주정부 예술기구는 이들과는 대조적이다. 비록 규모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규칙과 표준절차를 준수해야만 하는 조직이다. 의사결정은 지시에 의해 이루어진다. 사람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일뿐 아니라 세분화된 관리업무도 수행해야 한다. 이로 인해 전문화 정도도 높다. 구조적 차원과 상황배경적 차원은 조직 간의 차이를 비교할 때 긴요한 개념일 뿐만 아니라 조직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조직설계에도 중요한 개념이다. 이들의 적정 수준 여부가 조직의 효과성을 결정짓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는 다른 장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우선 조직의 효과성을 살펴보자.

반응형

'가족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직성과와 효과성  (0) 2021.03.05
나 자신에 대해서 이야기할 때  (0) 2021.03.05
조직이란 무엇인가  (0) 2021.03.05
경쟁의 심화  (0) 2021.03.05
조직이론의 실제  (0) 2021.03.04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